1. 아동 운동 발달과 특성

2. 성장

신체의 크기 증가 또는 부분적 증가로써(양적) 변화를 의미한다.

3. 성장이 빠르게 일어나는 시기

4. 에릭슨의 심리발달 단계

5. 신장

생후 1년이 되면 출생 시 1.5배로 증가한다.

6. 체중

영유아기 성장·발육 지표로서 가장 중요하다. 3~5개월이 되면 출생 시의 2배가 되고, 1년이 되면 3배로 증가한다.

7. 신생아의 생리적 체중 감소

출생 후 3~4일부터 시작하여 수일간 출생 시 체중의 5~10%가 소실된다. 예) 출생 시 3.5㎏인 아기가 1주일 이내 10%가 감소한 경우.

원인은 모체로부터 호르몬 공급 상실, 수분 공급 억제, 대소변 배출, 흡수량보다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다.

8. 활력징후

9. 신생아 황달(생리적 황달)

신생아 황달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으며 자연적으로 치료된다. 생후 2~3일경에 나타나며 약 7일 후 사라진다.

신생아에게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황달은 용혈 질환(핵황달)으로 위험하므로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10. 태변

출생 후 처음 보는 변으로 생후 8~24시간 이내에 배출된다.

11. 이행변

생후 4~14일 사이의 묽고 점액을 포함한 녹황색 변이다.

12. 반사

13. 아프가 점수

피부 색깔, 심박동수, 반사, 근 긴장도, 호흡 상태를 평가한다.

14. 신생아 목욕

15. 모유 수유 방법

16. 초유

성숙유보다 당분과 열량이 적으며, 분만 2~3일 후에 분비된다. 면역체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으며 염분이 태변의 배설을 돕는다.

17. 인공 수유

보리차 ⇒ 포도당 ⇒ 우유 순으로 진행한다.

18. 수유 중 청색증 발생 시 대처

우유가 기도로 넘어가 청색증이 나타날 때는 아기를 거꾸로 들어 우유가 흘러나오도록 한다.

19. 처음 먹어보는 음식

젖을 먹기 전에 주는 것이 좋다.

20. 광선치료요법

21. 미숙아와 만삭아

22. 미숙아 신체적 특징

23. 미숙아 보육기 간호

24. 보육기 주의 사항

25. 조산아의 4대 간호

26. 고위험 신생아에서 흔한 질환 및 간호

27. 영아 간호

28. 아토피 피부염의 간호

장갑을 끼워주거나 팔꿈치 보호대를 사용한다.

29. 예방접종 전의 주의사항

30. 예방접종 후의 주의사항